맨위로가기

유성 인두 마찰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 인두 마찰음은 혀뿌리와 인두벽 사이에서 공기의 마찰을 통해 생성되는 자음이다. 이 소리는 폐에서 나오는 기류와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이며, 국제 음성 기호로는 /ʕ/로 표기된다. 아랍어, 소말리아어, 체첸어 등 일부 언어에서 나타나며, 아랍어에서는 아랍 문자로, 소말리아어에서는 'c'로, 체첸어에서는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이 소리는 널리 사용되는 자음은 아니며, 언어에 따라 후두개음이나 성문 파열음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2. 특징

유성 인두 마찰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특징 분류세부 내용
기류의 발생폐장기류기구를 통해 나오는 날숨으로 소리를 낸다.
발성성대를 진동시켜 만드는 유성음이다.
조음 위치혀뿌리와 인두벽 사이에서 조음되는 인두음이다.
조음 방법조음 기관 사이의 틈을 좁혀 공기를 마찰시키는 마찰음이다.
구강/비강 기류연구개를 올려 비강으로 공기가 나가지 못하게 하는 구음이다.
기류 방향기류가 혀의 중앙을 따라 흐르는 중앙 자음이다.


3. 언어별 예시

인두 자음은 세계 언어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소리는 아니다. 때로는 연구개 접근음에서 발달하기도 하며, 유성 인두 마찰음(/ʕ/)으로 알려진 소리가 실제로는 후두개 자음(유성 후두개 마찰음이나 후두개 접근음)[1] 또는 인두화된 성문 파열음[2]인 경우도 있다. 특히 아랍어와 표준 히브리어의 해당 소리가 대표적인 예시다.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주로 성문 파열음으로 발음된다.)

유성 인두 마찰음 또는 이와 유사한 소리가 음소로 나타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 아바자어:
  • 아랍어: عar (아랍어 음운론 참조)
  • 아시리아어: (일부 방언)
  • 아바르어:
  • 체첸어: , ,
  • 쿠르달렌어:[3] ʕcrd
  • 다오어:[6] 음성적 지위는 불분명하며, 성문 파열음으로 실현되기도 함.
  • 히브리어: עhe (이라크, 세파르디, 예멘 방언 등. 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참조)
  • 잉구쉬어:
  • 유대-스페인어 (하케티아어 방언): ˁlad (아랍어, 히브리어 차용어)
  • 카빌어:[10]
  • 쿠르드어 (쿠르만지어 방언): }} (표기법이 일정하지 않음)
  • 할라지어: 모음 뒤에서 나타남
  • 루와티어: (아랍어 차용어)
  • 오카나간어:[12] ʕoka
  • 소말리아어: , (소말리아어 음운론 참조)
  • 수어 (스토니어 방언):[1] rsto


또한 다음 언어들에서는 특정 환경에서 /r/, /ʁ/, /l/ 등의 변이음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덴마크어:[4] rda (표준 방언 등에서 접근음 [ʕ̞]으로 발음되기도 함.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5]
  • 네덜란드어:[7] rnl (림부르흐 방언 등에서 접근음 [ʕ̞]으로 발음되기도 함.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
  • 독일어:[8] rde (일부 방언[9]에서 접근음 [ʕ̞]으로 발음되기도 함.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 말레이어 (케다 말레이어 방언):[11] rms (단어 끝에서 [ʕ]으로 발음되기도 함)
  • 오크어 (남부 오베르뉴 방언): loc ([ʕ]으로 발음되기도 함. 오크어 음운론 참조)
  • 우크라이나어: гuk ([ʕ] 또는 [ɦ]으로 발음됨. 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조)

3. 1. 아랍어

아랍어의 ع|아인ar 소리는 전통적으로 유성 인두 마찰음으로 분류되어 왔으나, 더 자세한 연구에서는 실제 발음이 후두개 자음에 더 가깝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소리는 유성 후두개 마찰음, 후두개 접근음,[1] 또는 인두화된 성문 파열음[2]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술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랍어'를 의미하는 아랍어 단어 اَلْعَرَبِيَّةُ|al-ʻarabiyyaar는 [alʕaraˈbijːa]로 발음되며(아랍어 음운론 참조), '눈'을 의미하는 عَيْنٌ|ʻaynunar은 [ʕɑi̯nʊn]으로 발음된다.

3. 2. 히브리어

표준 히브리어(현대 히브리어는 아님 – 이스라엘인들은 일반적으로 이것을 성문 파열음으로 발음한다)에서 음소 /ʕ/는 다양한 방식으로 유성 후두개 마찰음, 후두개 접근음,[1] 또는 인두화된 성문 파열음으로 묘사되어 왔다.[2]

언어방언단어IPA의미비고
히브리어이라크עִבְרִיתhe / ʿivrît[ʕibˈriːθ]'히브리어'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참조
세파르디[ʕivˈɾit]
예멘[ʕivˈriːθ]


3. 3. 기타 언어

인두 자음은 널리 퍼져 있지 않다. 때로는 연구개 접근음에서 발전하기도 한다. 인두 마찰음 또는 접근음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된 많은 언어들이 더 자세히 살펴보면 대신 후두개 자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다. 예를 들어, 아랍어와 표준 히브리어 (현대 히브리어는 아님 – 이스라엘인들은 일반적으로 이것을 성문 파열음으로 발음한다)에서 후보 /ʕ/ 소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유성 후두개 마찰음, 후두개 접근음,[1] 또는 인두화된 성문 파열음으로 묘사되어 왔다.[2]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아바자어гӀапынхъамыз|g'apynkh"amyzabq[ʕaːpənqaːməz]'3월'
아랍어اَلْـعَـرَبِيَّةُ|al-ʽarabiyya|rtl=yesar[alʕaraˈbijːa]'아랍어'아랍어 음운론 참조
아시리아어동부ܬܪܥܐ|täroaaii[tʌrʕɑ]'문'화자 대다수는 이 단어를 [tʌrɑ]로 발음한다.
서부[tʌrʕɔ]
아바르어гӀоркь|g}}[ʕortɬʼː]'손잡이'
체첸어Ӏан|jan / عـآنce[ʕan]'겨울'
쿠르달렌어[3]stʕincrd[stʕin]'영양'
덴마크어표준[4]ravnda[ʕ̞ɑ̈wˀn]'까마귀'접근음;[4] 연구개 [ʁ]로도 묘사된다.[5]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
다오어[6][ʕaa]'그리고'음성적 지위는 불분명하지만 "극도로 제한적인 분포"를 가지고 있다. 전혀 발음되지 않거나 성문 파열음으로 실현될 수 있다.
네덜란드어림부르흐[7]rad|italic=yesnl[ʕ̞ɑt]'바퀴'접근음; /r/의 가능한 실현.[7] /r/의 실현은 방언에 따라 크게 다르다.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
독일어일부 화자[8]Mutter|italic=yesde[ˈmutɔʕ̞]'어머니'접근음; 동부 중부 독일, 남서부 독일, 스위스 일부 지역 및 티롤에서 발생한다.[8]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슈바벤어 방언[9]ändardgsw[ˈend̥aʕ̞d̥]'변화'접근음.[9] 핵 및 코다 위치에서 /ʁ/의 변이음;[9] 개시에서 연구개 접근음으로 발음된다.[9]
히브리어이라크עִבְרִית|ʿivrît|rtl=yeshe[ʕibˈriːθ]'히브리어'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참조
세파르디[ʕivˈɾit]
예멘[ʕivˈriːθ]
잉구쉬어Iаддалinh[ʕaddal]'궁수'
유대-스페인어하케티아어ˁagzanlad[ʕaɡˈzan]'게으른'아랍어와 히브리어에서 차용
카빌어[10]ɛemmikab[ʕəmːi]'나의 (부계) 삼촌'
쿠르드어쿠르만지어ewr / [ʕɜwr]'구름'이 소리는 일반적으로 라틴 문자로 표기되지 않지만 ' 를 사용할 수 있다.
할라지어표준anklj[jɑːɑ̯n]'면'
루와티어قلـعـة|rtl=yesluv[qilʕa]'성'아랍어 차용어에 사용됨
말레이어케다 말레이어باکـر / bakarms[ba.kaʕ]'태우다'단어 최종 코다로서 /r/의 변이음. 일부 화자의 경우 유성 연구개 마찰음 [ɣ]일 수 있다.[11]
오크어남부 오베르뉴어palaoc[ˈpaʕa]'삽'오크어 음운론 참조
오카나간어[12]'ʕ'aymt[ʕajmt]'화난'
소말리아어cunto / 𐒋𐒚𐒒𐒂𐒙so[ʕunto]'음식'소말리아어 음운론 참조
수어스토니어marazhuddak[maʕazud]'비'
우크라이나어голосuk[ˈʕɔlos]'목소리'성문 [ɦ]로도 묘사된다. 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조


3. 4. 방언

인두 자음은 널리 퍼져 있지 않다. 때로는 연구개 접근음이 연구개 접근음에서 발전하기도 한다. 인두 마찰음 또는 접근음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된 많은 언어들이 더 자세히 살펴보면 대신 후두개 자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다. 예를 들어, 아랍어와 표준 히브리어 (현대 히브리어는 아님 – 이스라엘인들은 일반적으로 이것을 성문 파열음으로 발음한다)에서 후보 /ʕ/ 소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유성 후두개 마찰음, 후두개 접근음,[1] 또는 인두화된 성문 파열음으로 묘사되어 왔다.[2]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아바자어 / gapynkh"amyz[ʕaːpənqaːməz]'3월'
아랍어اَلْـعَـرَبِيَّةُ|rtl=yesar / al-ʽarabiyya[alʕaraˈbijːa]'아랍어'아랍어 음운론 참조
아시리아어동부 / täroa[tʌrʕɑ]'문'화자 대다수는 이 단어를 [tʌrɑ]로 발음한다.
서부[tʌrʕɔ]
아바르어 / gork[ʕortɬʼː]'손잡이'
체첸어Ӏанce / / [ʕan]'겨울'
쿠르달렌어[3]stʕincrd[stʕin]'영양'
덴마크어표준[4]ravnda[ʕ̞ɑ̈wˀn]'까마귀'접근음;[4] 연구개 ʁ로도 묘사된다.[5]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
다오어[6][ʕaa]'그리고'음성적 지위는 불분명하지만 "극도로 제한적인 분포"를 가지고 있다. 전혀 발음되지 않거나 성문 파열음으로 실현될 수 있다.
네덜란드어림부르흐[7]rad|italic=yesnl[ʕ̞ɑt]'바퀴'접근음; /r/의 가능한 실현.[7] /r/의 실현은 방언에 따라 크게 다르다.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
독일어일부 화자[8]Mutter|italic=yesde[ˈmutɔʕ̞]'어머니'접근음; 동부 중부 독일, 남서부 독일, 스위스 일부 지역 및 티롤에서 발생한다.[8]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슈바벤어 방언[9]ändardswg[ˈend̥aʕ̞d̥]'변화'접근음.[9] 핵 및 코다 위치에서 /ʁ/의 변이음;[9] 개시에서 연구개 접근음으로 발음된다.[9]
히브리어이라크עִבְרִית|rtl=yeshe / ʿivrît[ʕibˈriːθ]'히브리어'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참조
세파르디[ʕivˈɾit]
예멘[ʕivˈriːθ]
잉구쉬어Iаддалinh[ʕaddal]'궁수'
유대-스페인어하케티아어ˁagzanlad[ʕaɡˈzan]'게으른'아랍어와 히브리어에서 차용
카빌어[10][ʕəmːi]'나의 (부계) 삼촌'
쿠르드어쿠르만지어ewrkmr / [ʕɜwr]'구름'이 소리는 일반적으로 라틴 문자로 표기되지 않지만 ' 를 사용할 수 있다.
할라지어표준anklj[jɑːɑ̯n]'면'
루와티어قلـعـة|rtl=yesluv[qilʕa]'성'아랍어 차용어에 사용됨
말레이어케다 말레이어 / [ba.kaʕ]'태우다'단어 최종 코다로서 /r/의 변이음. 일부 화자의 경우 유성 ɣ일 수 있다.[11]
오크어남부 오베르뉴어[ˈpaʕa]'삽'오크어 음운론 참조
오카나간어[12]'ʕ'aymt[ʕajmt]'화난'
소말리아어cuntoso / [ʕunto]'음식'소말리아어 음운론 참조
수어스토니어marazhudsto[maʕazud]'비'
우크라이나어голосuk[ˈʕɔlos]'목소리'성문 ɦ로도 묘사된다. 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조


4. 관련 음성 기호

폐장기류기구를 통해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낸다. 소리를 낼 때 성대가 떨리는 유성음이다. 조음 위치는 혀뿌리와 인두벽 사이이며, 인두음으로 분류된다. 조음 방법상으로는 조음 기관 사이의 틈을 좁혀 공기가 마찰하며 지나가도록 하는 마찰음이다. 또한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 공기가 나가지 못하게 하는 구음이며, 기류는 입의 중앙으로 흐른다.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3] 학위논문 Coeur d'Alene grammatical relations University of Texas
[4] 간행물
[5] 간행물
[6] 학술대회 Implikasi penelitian fonologis untuk cara menulis bahasa-bahasa daerah di Kawasan Timur Indonesia http://e-ubb.org/wp-[...] Kanisius
[7] 간행물
[8] 간행물
[9] 웹사이트 Pharyngeals and 'lax' vowel quality http://www.ncl.ac.uk[...] Institut für Deutsche Sprache 2015-02-24
[10] 간행물
[11] 학술지 The Malay Chetty Creole Language of Malacca: A Historical and Linguistic Perspective 2009-06
[12] 논문 Douglas Lake Okanagan: Phonology and Morphology. https://open.librar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